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번아웃 증후군

태리미 2023. 10. 26. 22:50
반응형

정신적인 탈진 상태인 번아웃 증후군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무기력증 

요즘 들어 많이 거론되는 증상 중에 하나가 번아웃 증후군입니다. 번아웃 증후군은 지나친 업무량과 극도의 피로로 인해 무기력증에 빠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1974년 미국 심리학자 허버트 프로이덴버거가 처음 거론한 증상으로 일에 전념하던 사람이 어느 순간에 육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느끼며 패닉에 빠지게 됩니다. 따라서 번아웃 증후군에 빠진 사람들은 무기력증, 불안감, 불면증, 피로감을 호소합니다.

 

지나친 스케줄로 인해 자신의 생활이 없는 연예인들, 업무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전문가 혹은 직장인에게 많은 증상으로 번아웃 증상이 나타나면 정서적으로 위축되고 업무 효율이 떨어지며 상실감과 우울감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학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이 나이와 관계가 있다고 말하는데, 이 외에도 지속적인 스트레스와도 관련이 깊습니다.

 

번아웃 증후군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신체적인 증상으로 나타나고 본인은 물론 주변 사람들까지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족과 전문가에게 솔직히 털어놓고 도움을 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번아웃 증후군 증상 

 

●감정적으로 고갈됨을 느낀다.

●자신의 일에 대한 책임감등 부담감이 크다.

● 직무 성과나 생산성 또는 성취도의 현저한 감소

● 부정적이거나 비관적인 태도

● 두통, 수면 장애, 피로 등의 신체적 증상이 나타남

● 인지 장애로 인한 집중력의 어려움

● 기억력에 문제가 생기거나 작업 능력의 감소

● 일에 대한 흥미나 열정이 떨어짐

● 통제력이나 자율성의 결여

● 일과 삶의 균형이 깨짐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로 예방해야

얼마 전까지도 우울증을 사치스러운 감정이라고 여기며 질병으로 취급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우울증으로 인해 극단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갖가지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적극적으로 치료하자는 분위기가 조성되었습니다. 번아웃 증후군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은 번아웃을 단순히 피곤이 누적된 상태 정도로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번아웃을 주요 임상증후군으로 분류한 만큼 사회에 문제가 되는 증상임에 틀림없습니다.

 

한 여론 조사 기관에 따르면 업무 스트레스로 인해 번아웃증후군을 느끼는 직장인이 60%가 넘었고, 취업 준비생들은 90% 가까운 빈도로 심각한 번아웃을 느끼고 있으며, 학생과 주부에 이르기까지 대상도 광범위해지고 있습니다. 정신적인 탈진 상태인 번아웃이 늘어날수록 사회 기능이 지체되고 개인적 피해가 커질 것이기 때문에 예방하는데 각별히 신경 써야겠습니다.

 

번아웃을 예방하려면 일단 쉬어야 합니다. 업무 시간과 개인 시간을 적절하게 분배하는 워라밸을 지키고 자신만의 시간을 통해 스트레스를 극복해야 합니다. 스트레스 극복 방법으로는 명상이나 운동, 취미 생활등이 좋으며, 여행을 통해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고 피로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친밀한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에 업무를 조절할 수 없다거나 직장 내에 문제가 있을 시에는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자신이 일을 즐겁게 할 수 없고 한계가 느껴진다면 빠르게 방법을 찾아서 번아웃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어야겠습니다.

반응형